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다이렉트H건강보험|현대해상보험|[별표9] 허혈심장질환분류표 핵심 요약

by 금융뱅크
반응형

다이렉트H건강보험.pdf
4.61MB

1. 허혈심장질환의 분류 기준

허혈심장질환은 제8차 개정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따라 특정 질병들을 포함합니다. 이 질병들은 협심증, 급성심근경색증, 후속심근경색증, 급성심근경색증 후 발생한 합병증, 기타 급성 허혈심장질환, 만성 허혈심장병 등입니다. 해당 질병들은 번호가 매겨져 있고, 이에 따라 분류됩니다. 이 기준은 통계청 고시 제2020-175호에 명시되어 있으며,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2. 개정된 분류 기준 적용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는 시간이 지나면서 개정될 수 있습니다. 만약 분류가 개정되면, 그에 따라 허혈심장질환의 분류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보험 관련 사항을 판단할 때는 피보험자가 진단받았을 당시의 분류 기준을 따라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이후 개정된 분류에 따라 과거에 진단된 질병을 다시 판단하지는 않습니다.

3. 진단서의 중요성

허혈심장질환의 진단을 받을 때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맞춰 분류번호가 기재되어야 합니다. 진단서에 적힌 분류번호는 반드시 해당 지침서에 맞춰야 하며, 향후 지침서가 변경될 경우에는 그 변경된 지침서를 따릅니다. 이는 정확한 질병 분류와 보험 처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추가적인 질병 분류

또한, 허혈심장질환 분류에 포함되는 질병 외에도 연관된 질병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분류번호가 동시에 부여된 질병이 있을 경우, 그 질병도 허혈심장질환 분류에 포함되며, 이에 따라 보험금 지급 여부가 결정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허혈심장질환의 분류 기준과 관련된 사항들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므로, 피보험자는 진단 당시의 기준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loading